-
임베디드 개발 환경embedded system 2015. 1. 7. 16:46
출처 : http://recipes.egloos.com/5383584
개발용 host pc
순전히 보드에서 개발과 컴파일, 디버깅을 진행할 수 없기때문에 host PC가 필요한 것이다.
target board 처음 세팅시 bootloader, kernel, file system은 host pc에서 cross compile한 후, 컴파일된 파일을 target의 flash memory 에 올린다.
일반적인 application 역시 host PC에서 개발,컴파일, 디버깅을 수행한 후 최종 프로그램만 target board에 올린다.
host PC는 linux 를 주로 사용한다. 사실 왜인지는 모름..
또한 타겟보드 개발용 cross toolchain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target board와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UART방식이나 USB등 다양한 cable이 있다.
target board
부트용 파일 : 타겟보드용 부트로더를 작성하던가 기존의 부트로더(ex>u-boot)를 수정해야한다.
주기능은 하드웨어를 초기화하고 검사하며 최종적으로 커널을 로더하여 커널에게 제어권을 넘기는 역할을 한다.
커널 이미지 : 타겟보드용 커널이 있어야 한다(다행히 2.6 커널서부터는 embedded커널이 포함되어서 편한면은 있음)
램디스크 이미지 : 타겟보드용 root filesystem이 있어야 한다.
'embedded syst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ndale 세팅작업 (0) 2015.01.13 embedded linux Booting (0) 2015.01.07 Raspberry Pi GIPO (0) 2014.11.08 raspbery pi gyro module (0) 2014.11.08 raspbery pi camera module (0) 2014.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