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Ethernet(802.3), WLAN(802.11) 구분Network 2015. 1. 22. 20:26
면접준비하면서 나의 무지가 어마무시하다는걸 절실히 깨닫고 있다. ㅠㅠ Ethernet vs. WLAN[1] Ethernet is a (set of) data-link layer (layer 2) protocol(s), known as 802.3, that runs over various physical (layer 1) media.WLAN is also a (set of) data-link layer (layer 2) protocol(s) known as 802.11 that runs over the Wi-Fi physical media (layer 1) using radio signals rather than electrical signals through a cable. Wireless Frames ..
-
embedded system에서 Linkercompiler 2015. 1. 22. 11:15
symbol resolution 사실 같은 core내에서 개발하는 native개발환경에서는 실행 이미지를 메모리에 어떻게 로드할 것인지 같은걸 고려할 필요가 없다. 운영체제가 알아서 해주기때문이다.그러나 임베디드 시스템용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재배치 가능 형식이 아니다.booting program을 실행할때, MMU가 있다면 비활성화 상태이다. 부팅시에는 로더가 존재 하지 않는다. 그래서 메모리의 고정 위치에 코드를 올릴 수 있도록 빌드해야한다. Linker Description Script Linker Description Script 혹은 Scatter loading unix쪽에서 사용하는 용어에 따르면,RW = .dataZI = .bssRO = .constdata + .text이런 것든 symbol..
-
u-boot 분석embedded system 2015. 1. 19. 11:21
전체적인 흐름분석도 벅차서 세부적인 코드분석은 하지 못했다.. Source Tree \arch\arm\cpu각종 vendor별 CPU dependent Initialization code를 가진다. \arch\arm\cpu\arm7entry point인 start.S 파일을 가진다. \arch\arm\cpu\arm7 \exynos \arch\arm\includecpu관련 c파일 \board각종 vendor별 board dependent Initialization code를 가진다. \board\samsung\wmdk5250clock init, DMC init,.. \common 각종 명령어, user interface main routine, CLIarchtecture나 target board에 무관한 ..
-
u-boot 컴파일,부팅embedded system 2015. 1. 16. 13:34
u-boot 코드 다운로드$mkdir WORKING_DIRECTORY$cd WORKING_DIRECTORY$git init$git clone https://git.linaro.org/boot/u-boot-linaro-stable.git cross compile 설치http://sourcery.mentor.com/public/gnu_toolchain/arm-none-eabi/ uboot의 makefile 수정export CROSS_COMPILE = arm-none-eabi-export ARCH=arm u-boot컴파일$make arndale5250_config$make SD card 로 부팅을 위해 코드올리기$sudo dd if=arndale-bl1.bin of=/dev/sdb bs=512 seek=1$s..
-
ADB, Fastbootembedded system 2015. 1. 15. 16:52
3일 반동안 wiki대로 따라하긴 했는데 임베디드는 문외한으로 시작해서 그냥 다 모른채로 시작함.임베디드는 수업이라도 들었는데 안드로이드는 진짜 그냥 인문과학생들과 다를게 없는 지식수준.. ADB명령어 안드로이드까지 작동하는 상태에서 사용가능한 명령어?윈도우에서도 device driver따로 설치, adb, (android debug bridge) : 안드로이드 기기의 검토용으로 사용.Android ADB interface : fastboot 상태인 안드로이드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드라이버 명령어 :adb shellsudo adb reboot : target board를 강제로 재시작sudo adb reboot-bootloader : target board를 강제로 부트로더로 재시작시킨다. Fas..
-
RAM, Flash memoryembedded system 2015. 1. 15. 16:27
DRAM, SRAM SRAM DRAM Memory cell Flip-Flop 안정적이다. 전원공급 장치가 중단되지 않는다면, 트리거의 상태는 무한한 시간 동안 보존될 수 있다. 플리플롭의 원리사용 Capacity(축전지) 전하를 저장하는 방식으로 데이터 저장. 시간이 지날수록 capacity판에 축적할 수 있는 전하가 얼마 되지 않기 때문에 매우 빨리 전자가 누전되므로 주기적으로 recharge돼야 한다. Recharge를 위한 제어회로가 컴퓨터 시스템에 탑재되어햔다. 75MHz와 100MHz사이에서 고장난다. SRAM Cell은 보통 6~8개의 트랜지스터로 구성된다. Refresh Clock에 필요 없으므로 소용량의 메모리나 Cache memory에 주로 사용된다. 속도는 5배 빠르다. DRAM Cel..
-
arndale 세팅작업embedded system 2015. 1. 13. 15:35
15.01.12 - 15.01.15야호 커널 컴파일중 막간을 이용하여 삽질 정리환경 세팅을 위해 따라하기 사이트 : http://www.arndaleboard.org/wiki/index.php/WiKi#Installing_the_JDK 1.설치한 dependence git-core gnupg flex bison gperf build-essential zip curl zlib1g-devlibc6-dev lib32ncurses5-dev ia32-libs xx11proto-core-dev libx11-devlibreadline6-dev instead of lib32readline5-dev lib32z-devlibgl1-mesa-dev also libgl1-mesa-glxg++-multilib mingw32 t..
-
embedded linux Bootingembedded system 2015. 1. 7. 18:05
1. bootloader 주기능은 하드웨어를 초기화하고 검사하며 최종적으로 커널을 로더하여 커널에게 제어권을 넘기는 역할을 한다.개발보드 flash memory에 있는 kernel을 SDRAM으로 복사한다. u-boot : 다양한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 Serial, Network, USB, Flash를 지원CPU에 대한 Evaluation Board용 Sample 코드를 제공CPU에 대한 명령어 체계가 동일하므로 다른 Platform을 적용하기 쉽다. build가 완료되면 u-boot.bin파일이 생성됨. 배포용 리눅스는 zImage안의 bbootsect가 부트로더 역할을 함. 2. 커널 이미지 츨처 : http://bmfrog.tistory.com/m/post/101 실제 커널이미지는 vmlinux임..